개요
국내 기업들이 정보보호 투자와 전담 인력 채용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개한 '2023년 정보보호 공시 현황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701개 국내 기업의 올해 정보보호 투자액은 총 1조8천526억원으로 전년(1조5천319억원)보다 20.9% 증가했다.
기업별 평균 투자액은 26억원으로 전년(24억원)보다 8.3% 늘어났다.
2년 연속 공시 이행 기업 613개 사만 분석하면 정보보호 투자액은 총 1조6천968억원, 평균 28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4.4%, 16.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제조업에서는 삼성전자(2천435억원)가, 정보통신업에서는 KT(1천35억원)가, 도매·소매업에서는 쿠팡(639억원)이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정보보호에 가장 많이 투자하고 가장 많은 전담인력을 고용한 업종별 1위 기업에 올랐다.
업종별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은 금융업(69억원), 정보통신업(57억원), 도·소매업(25억원)의 순이었다.
투자 규모 기준으로 상위 10대 기업의 대부분은 정보통신업체 또는 IT 분야 제조업체였다. 삼성전자, KT, 쿠팡이 전체 1∼3위에 올랐고 SK하이닉스(590억원)과 SK텔레콤(550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 기업들의 정보보호 전담인력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올해 기업들의 전체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6천891.5명으로 전년(5천862명)보다 17.6% 늘었고, 기업별 평균 전담인력도 9.83명으로 전년(9.05명)보다 8.6% 증가했다.
2년 연속 공시 이행 기업만 보면 전체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6천240.2명, 기업별 평균 전담인력은 10.18명으로 각각 조사됐다.
업종별 평균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정보통신업(23.35명), 금융업(17.41명), 도·소매업(9.03명) 순이며, 상위 10대 기업의 대부분이 정보통신업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조업과 건설업 등 일부 업종은 다른 업종에 비해 정보보호 활동이 부족해 경영진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과기정통부는 지적했다.
또 2년 연속 공시 이행 기업의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과 전담인력 증가율이 각각 16.7%, 11.3%로 전체 평균(투자액 8.3%↑, 전담인력 8.6%↑)을 상회해 공시 효과가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1210022200017?section=industry/technology-science
국내 기업들, 정보보호에 총 1조8천억원 투자…21%↑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 국내 기업들이 정보보호 투자와 전담 인력 채용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www.yna.co.kr
'IT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홈 산업 IT/과학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 LTE-V2X 통신방식으로 결정" (0) | 2023.12.13 |
---|---|
"과기정통부, 망 보안 강화 '제로트러스트' 모델 2종 발표" (0) | 2023.12.11 |
개인정보 보호 최우수 기업에 블록체인 보안 회사 '호패' (0) | 2023.12.09 |
"전 세계 개인정보 유출, 재작년 11억 건→작년 15억 건" (0) | 2023.12.08 |
"경찰, 과기 정통부와 협력해 구조 요청자 위치 정밀 파악" (0) | 2023.12.07 |